Git 워크플로우 향상: 필수 명령줄 도구 및 GUI

필수 명령줄 도구와 GUI를 탐색하여 보다 효율적인 Git 워크플로우를 활용해 보세요. 이 글은 브랜칭, 병합, 협업과 같은 일상적인 작업을 위한 핵심 Git 명령어를 다루고, 대화형 관리를 위한 `lazygit`, 향상된 diff를 위한 `delta`, 기록 재작성을 위한 `git-filter-repo`와 같은 강력한 유틸리티를 소개합니다. 이러한 확장 기능과 함께 구성 팁 및 보안 모범 사례를 통해 버전 관리를 간소화하고 코드 품질을 개선하며 생산성을 높이는 방법을 알아보세요.

39 조회수

Git 워크플로우 강화: 필수 명령줄 도구 및 GUI

빠르고 확장 가능하며 분산된 리비전 제어 시스템인 Git은 현대 소프트웨어 개발 워크플로우의 중추를 이룹니다. 핵심 명령줄 인터페이스는 버전 관리에 대한 강력한 제어를 제공하지만, 광범위한 명령 집합, 전문 명령줄 도구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이해하고 활용하면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복잡한 작업을 단순화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일상적인 사용에 필수적인 Git 명령을 안내하고, Git의 기능을 확장하는 강력한 명령줄 유틸리티를 살펴보고, 버전 관리 경험을 최적화하기 위한 그래픽 인터페이스에 대해 간략하게 다룹니다.

Git을 처음 사용하시거나 워크플로우를 개선하려는 숙련된 사용자이든, 이러한 도구를 마스터하면 리포지토리를 더 효율적으로 탐색하고, 프로젝트 기록에 대한 더 깊은 통찰력을 얻고, 팀과 더 효과적으로 협업할 수 있습니다. 실용적인 명령, 대화형 텍스트 기반 UI, Git 여정을 더 원활하고 통찰력 있게 만들기 위해 설계된 전문 유틸리티를 탐색할 것입니다.

핵심 Git 워크플로우: 필수 명령줄 작업

Git은 최종 사용자를 위한 고수준 "porcelain" 명령과 스크립팅 및 내부 객체 관리를 위한 저수준 "plumbing" 명령으로 분류되는 풍부한 명령 집합을 제공합니다. 여기서는 일상 작업에 필수적인 porcelain 명령에 중점을 둘 것입니다.

리포지토리 시작하기

새 프로젝트를 시작하거나 기존 프로젝트에 참여하려면 다음 명령이 시작점입니다.

  • 새 Git 리포지토리 초기화:
    bash git init
  • URL에서 기존 리포지토리 복제:
    bash git clone <url>

변경 사항 관리 (스테이징 및 커밋)

커밋하기 전에 Git은 "스테이징 영역"(인덱스라고도 함)을 사용하여 변경 준비를 합니다. 이를 통해 각 커밋에 포함될 내용을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습니다.

  • 특정 파일을 스테이징 영역에 추가:
    bash git add <file>
  • 추적되지 않거나 수정된 모든 파일을 스테이징 영역에 추가:
    bash git add .
  • 파일의 일부(hunk)를 대화형으로 스테이징:
    bash git add -p
  • 파일 이동 또는 이름 변경:
    bash git mv <old> <new>
  • 파일을 작업 디렉토리 및 스테이징 영역에서 삭제:
    bash git rm <file>
  • 파일 시스템에서 삭제하지 않고 Git 추적에서 파일 제거:
    bash git rm --cached <file>
  • 특정 파일의 스테이징 해제:
    bash git reset <file>
  • 모든 변경 사항의 스테이징 해제:
    bash git reset
  • 작업 디렉토리 및 스테이징 영역의 상태 확인:
    bash git status

스테이징된 변경 사항이 있으면 커밋할 수 있습니다.

  • 스테이징된 변경 사항 커밋 (메시지 작성을 위해 편집기 열림):
    bash git commit
  • 메시지와 함께 스테이징된 변경 사항 커밋:
    bash git commit -m 'Your commit message'
  • 추적된 스테이징되지 않은 모든 변경 사항을 직접 커밋 (git add를 건너뜀):
    bash git commit -am 'Your commit message'

브랜칭 및 병합

브랜치는 Git의 분산 특성에 기본이며 병렬 개발을 가능하게 합니다. 병합 및 리베이스는 변경 사항을 통합하는 방법입니다.

  • 기존 브랜치로 전환:
    bash git switch <name> # 또는 (이전 구문) git checkout <name>
  • 새 브랜치 생성 및 전환:
    bash git switch -c <name> # 또는 (이전 구문) git checkout -b <name>
  • 모든 로컬 브랜치 나열:
    bash git branch
  • 가장 최근에 커밋된 브랜치별로 나열:
    bash git branch --sort=-committerdate
  • 로컬 브랜치 삭제 (병합된 경우에만):
    bash git branch -d <name>
  • 로컬 브랜스 강제 삭제 (병합되지 않은 경우에도):
    bash git branch -D <name>
  • 한 브랜치를 현재 브랜치로 병합:
    bash git merge <branch-to-merge>
  • 한 브랜치를 현재 브랜치로 단일 커밋으로 병합 (squash merge):
    bash git merge --squash <branch-to-merge> git commit -m 'Squashed commit message'
  • 현재 브랜치를 다른 브랜치 위로 리베이스 (기록 다시 작성):
    bash git rebase <base-branch>

원격 저장소와의 협업

Git은 협업 환경에서 뛰어나며 원격 리포지토리에서 변경 사항을 푸시하고 풀합니다.

  • 새 원격 리포지토리 추가:
    bash git remote add <name> <url>
  • 현재 브랜치를 원격 추적 브랜치로 푸시:
    bash git push
  • 새 브랜치를 처음 푸시하고 업스트림 설정:
    bash git push -u origin <name>
  • 강제 푸시 (매우 주의해서 사용, 원격 기록 덮어씀):
    bash git push --force-with-lease
  • 원격 저장소에서 변경 사항 가져오기 (로컬 브랜치에 통합하지 않음):
    bash git fetch origin main
  • 변경 사항을 가져온 다음 현재 브랜치로 병합:
    bash git pull origin main # 또는 (추적 브랜치가 설정된 경우) git pull
  • 변경 사항을 가져온 다음 현재 브랜치를 리베이스:
    bash git pull --rebase

기록 및 차이점 검사

무엇이 변경되었고 누가 변경했는지 이해하는 것은 디버깅 및 검토에 중요합니다.

  • 스테이징되었거나 스테이징되지 않은 모든 변경 사항의 요약 표시:
    bash git diff HEAD
  • 스테이징된 변경 사항만 표시:
    bash git diff --staged
  • 스테이징되지 않은 변경 사항만 표시:
    bash git diff
  • 커밋 로그 보기 (다양한 옵션):
    ```bash
    git log # 전체 로그
    git log --graph # 기록의 ASCII 아트 트리
    git log --oneline # 커밋당 간결한 한 줄
    git log # 특정 파일의 기록
    git log --follow # 이름 변경 포함 기록
    git log -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