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greSQL 고가용성(HA) 클러스터에서 일반적인 장애 조치 및 연결 오류 문제 해결

일반적인 PostgreSQL 고가용성 장애 조치 및 연결 문제를 탐색하고 해결하십시오. 이 종합 가이드는 연결 풀러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이 다시 연결되지 않는 문제, 과도한 복제 지연, 정체된 기본 전환과 같은 문제를 다룹니다. `pg_stat_replication`, `patronictl` 및 네트워크 도구를 사용한 실용적인 디버깅 기술을 배우십시오. 원활하고 자동화된 기본 전환 및 PostgreSQL 고가용성 클러스터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원활한 연결을 보장하기 위한 실행 가능한 해결 방법, 구성 모범 사례 및 필수 모니터링 전략을 확인하십시오.

33 조회수

PostgreSQL HA 클러스터의 일반적인 장애 조치 및 연결 오류 문제 해결

PostgreSQL 고가용성(HA) 클러스터는 하드웨어 오류, 네트워크 중단 또는 기타 예기치 않은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지속적인 데이터베이스 작업을 보장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모든 HA 설정의 중요한 구성 요소는 장애 조치 메커니즘으로, 현재 프라이머리가 사용할 수 없게 되면 자동으로 복제본을 새 프라이머리로 승격합니다. 견고하긴 하지만, 장애 조치 프로세스에서 때때로 문제가 발생하여 애플리케이션 다운타임이나 데이터 불일치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 문서는 PostgreSQL HA 클러스터에서 발생하는 일반적인 장애 조치 및 연결 오류를 심층적으로 다룹니다. 우리는 연결 풀러를 통한 애플리케이션 재연결 실패, 데이터 일관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도한 복제본 지연, 중단된 프라이머리 전환과 같은 일반적인 문제를 탐색할 것입니다. 각 문제에 대해 기본 원인, 표준 PostgreSQL 도구 및 시스템 유틸리티를 사용한 효과적인 디버깅 기술, 그리고 원활하고 자동화된 프라이머리 전환 및 끊김 없는 애플리케이션 연결을 보장하기 위한 실행 가능한 해결책을 논의할 것입니다. 이러한 과제를 미리 이해하고 해결함으로써 PostgreSQL HA 환경의 안정성과 성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ostgreSQL HA 기본 사항 이해

문제 해결에 앞서 PostgreSQL HA 클러스터의 핵심 구성 요소를 간략하게 요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프라이머리/복제본 아키텍처: 프라이머리 데이터베이스는 모든 쓰기 작업을 처리하며, 하나 이상의 복제본이 스트리밍 복제를 통해 비동기식 또는 동기식으로 변경 사항을 수신합니다. 복제본은 읽기 전용이지만 장애 조치 중 승격을 위한 후보 역할을 합니다.
  • 장애 조치 관리자: Patroni, pg_auto_failover 또는 Corosync/Pacemaker와 같은 도구는 프라이머리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장애를 감지하고, 사용 가능한 복제본 중에서 새 프라이머리를 선출하며, 승격 프로세스를 관리합니다. 또한 다른 복제본이 새 프라이머리를 따르도록 재구성하는 작업도 처리합니다.
  • 연결 풀링: 애플리케이션은 데이터베이스에 직접 연결하기보다는 PostgreSQL 연결 풀러(예: PgBouncer, Odyssey)에 연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풀러는 현재 프라이머리로 쿼리를 라우팅하여 연결 다중화, 로드 밸런싱을 제공하며 잠재적으로 프라이머리의 실제 네트워크 주소를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추상화합니다. 이 추상화는 장애 조치 중에 매우 중요합니다.

일반적인 장애 조치 및 연결 문제 및 해결책

1. 장애 조치 중 연결 풀링 오류

가장 자주 발생하는 장애 조치 후 문제 중 하나는 데이터베이스 자체는 작동 중임에도 불구하고 애플리케이션이 새로 승격된 프라이머리에 다시 연결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이는 종종 연결 풀러 또는 클라이언트 측 캐싱의 문제를 나타냅니다.

문제 증상:

  • 애플리케이션이 데이터베이스 연결 오류를 보고합니다(FATAL: database "mydb" does not exist, connection refused, server closed the connection unexpectedly).
  • 풀러를 통한 기존 연결이 멈춘 것처럼 보이거나 이전 프라이머리의 IP로 연결을 시도합니다.
  • 장애 조치가 완료된 후에도 새 연결이 실패합니다.

근본 원인:

  • 풀러의 오래된 연결: 연결 풀러가 이전 프라이머리에 대한 열린 연결을 유지하고 재사용하려고 시도하여 이전 프라이머리가 다운되거나 이제 복제본인 경우 오류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 잘못된 풀러 구성: 풀러가 새 프라이머리를 올바르게 감지하고 전환하도록 구성되지 않았거나 server_reset_query가 누락/잘못되었을 수 있습니다.
  • DNS 캐싱: 애플리케이션이나 풀러가 DNS 항목을 사용하여 프라이머리의 주소를 확인하는 경우, 오래된 DNS 캐시 항목(로컬 또는 DNS 확인자 수준에서)으로 인해 계속해서 이전 IP로 연결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 클라이언트 측 재시도 로직 부족: 애플리케이션이 장애 조치 중 발생하는 일시적인 연결 문제를 처리하기 위한 견고한 재시도 메커니즘으로 구축되지 않았을 수 있습니다.

디버깅 단계:

  1. 풀러 상태 확인: 풀러의 콘솔(예: psql -p 6432 pgbouncer -U pgbouncer)에 접속하여 SHOW SERVERS, SHOW CLIENTS, SHOW DATABASES 출력을 확인하여 새 프라이머리를 인식하고 있으며 올바른 주소에 활성 연결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2. 네트워크 연결 확인: 풀러 호스트에서 새 프라이머리의 PostgreSQL 포트(telnet new_primary_ip 5432)로 pingtelnet을 수행합니다.
  3. 풀러 로그 검사: 풀러의 로그에서 데이터베이스 연결 또는 호스트 이름 확인 시도와 관련된 오류 메시지를 검토합니다.
  4. DNS 확인 확인: 풀러 호스트에서 dig 또는 nslookup을 사용하여 프라이머리 서비스 엔드포인트(예: primary.mydomain.com)에 대한 DNS 레코드가 새 프라이머리의 IP 주소로 확인되는지 확인합니다.

해결책:

  • server_reset_query 구성: 풀러에 server_reset_query(예: DISCARD ALL;)가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하여 연결이 풀로 반환되고 다른 클라이언트에서 재사용되기 전에 세션 상태를 정리합니다. 이는 임시 객체 또는 세션별 설정을 사용하는 환경에 중요합니다.
  • max_db_connectionsmax_user_connections: 풀러가 새 프라이머리에 대한 모든 연결을 독점하여 다른 서비스를 고갈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제한을 설정합니다.
  • 풀러 다시 로드/재시작: 경우에 따라 연결 풀러를 정상적으로 다시 로드하거나 재시작하여 새 구성을 적용하거나 DNS를 다시 확인해야 할 수 있습니다. 이는 최후의 수단이며 장애 조치 관리자에 의해 자동화되는 것이 좋습니다.
  • 더 짧은 DNS TTL: DNS 기반 서비스 검색을 사용하는 경우, DNS 캐싱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프라이머리 DNS 레코드에 매우 짧은 Time-To-Live(TTL)를 구성합니다(예: 30-60초).
  • 클라이언트 측 재시도: 애플리케이션 코드에 지수 백오프 및 재시도 로직을 구현합니다. 이렇게 하면 장애 조치 중 발생하는 일시적인 연결 문제에 애플리케이션이 더 강력하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 가상 IP (VIP): HA 솔루션에서 관리하는 가상 IP 사용을 고려하십시오. VIP는 프라이머리와 함께 이동하므로 애플리케이션은 고정 IP에 연결하고 기본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투명하게 변경됩니다.
# PgBouncer 구성 예시 스니펫
[databases]
mydb = host=primary_cluster_service_ip port=5432 dbname=mydb
# 또는 장애 조치 관리자가 업데이트하는 호스트 이름 사용
# mydb = host=primary.mydomain.com port=5432 dbname=mydb

[pgbouncer]
listen_addr = 0.0.0.0
listen_port = 6432
auth_type = md5
auth_file = /etc/pgbouncer/userlist.txt
pool_mode = session
server_reset_query = DISCARD ALL;
server_fast_close = 1 # 서버가 응답하지 않으면 빠르게 연결 닫기
server_check_delay = 10 # 10초마다 서버 상태 확인

2. 장애 조치를 방해하는 과도한 복제본 지연

복제본 지연은 스탠바이 데이터베이스가 프라이머리보다 뒤처져서, 프라이머리가 보낸 모든 WAL(Write-Ahead Log) 레코드를 재생하지 못했음을 의미합니다. 장애 조치 중에 심하게 지연된 복제본을 승격하면 데이터 손실이 발생하거나 HA 관리자가 복제본이 따라잡을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경우 장애 조치 프로세스가 크게 지연될 수 있습니다.

문제 증상:

  • 모니터링 알림에 높은 복제본 지연이 표시됩니다(예: 바이트 또는 시간 단위).
  • 장애 조치 관리자가 구성된 지연 임계값을 초과하여 복제본 승격을 거부합니다.
  • 장애 조치 후 애플리케이션에서 이전 프라이머리에 있던 데이터가 누락된 것을 확인합니다.

근본 원인:

  • 높은 프라이머리 쓰기 부하: 프라이머리에서 지속적으로 높은 쓰기 작업량은 복제본이 따라잡는 능력을 압도할 수 있으며, 특히 복제본의 하드웨어(I/O, CPU)가 열악한 경우 더욱 그렇습니다.
  • 네트워크 지연/대역폭: 프라이머리와 복제본 간의 느리거나 혼잡한 네트워크 링크는 WAL 전송을 지연시킬 수 있습니다.
  • 느린 복제본 I/O: 복제본의 디스크 하위 시스템이 WAL 레코드를 효율적으로 쓰고 재생하기에 충분히 빠르지 않을 수 있습니다.
  • wal_level 설정: wal_levelreplica 이상으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 복제에 필요한 정보가 생성되지 않습니다.
  • max_wal_senders: 프라이머리에서 max_wal_senders가 부족하면 활성 복제 슬롯 또는 동시 복제 연결 수가 제한되어 처리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archive_command / restore_command 문제: WAL 아카이빙 및 복구를 사용하는 경우, 이러한 명령(예: 느린 아카이브 저장소)의 문제가 지연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디버깅 단계:

  1. pg_stat_replication 모니터링: 이 뷰는 write_lag, flush_lag, replay_lag를 포함한 복제 상태에 대한 실시간 정보를 제공합니다.
  2. LSN 비교: 프라이머리의 현재 WAL LSN과 복제본에서 마지막으로 재생된 LSN을 수동으로 비교합니다.
  3. 시스템 리소스 확인: iostat, vmstat, top을 프라이머리와 복제본 모두에서 사용하여 I/O 병목 현상, CPU 포화 또는 메모리 압력을 식별합니다.
  4. 네트워크 진단: iperf를 사용하여 프라이머리와 복제본 간의 네트워크 성능을 테스트합니다.

해결책:

  • max_wal_senders 증가: 프라이머리에서 max_wal_senders(예: max_wal_senders = 10)를 늘려 더 많은 동시 복제 연결을 허용합니다. 다시 시작해야 합니다.
  • 복제본 하드웨어 개선: I/O 또는 CPU가 병목 현상인 경우, 복제본의 하드웨어를 업그레이드하거나 저장소 구성(예: 더 빠른 SSD, 별도 WAL 디스크)을 최적화하는 것을 고려하십시오.
  • wal_compression 튜닝: 프라이머리에서 wal_compression = on(PostgreSQL 14+)을 설정하면 WAL 볼륨을 줄여 네트워크 제약이 있는 링크를 통한 복제 속도를 잠재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지만, 프라이머리 CPU 비용이 발생합니다.
  • wal_keep_size 또는 wal_keep_segments 조정: 복제본이 동기화되지 않고 전체 베이스 백업이 필요하지 않도록 프라이머리에 충분한 WAL 파일이 유지되도록 합니다.
  • synchronous_commit: synchronous_commit = on은 더 강력한 데이터 내구성 보장을 제공하지만, 프라이머리의 쓰기 작업에 지연을 유발합니다. 엄격한 동기 복제가 필요한 경우 특정 테이블 또는 트랜잭션에 remote_write 또는 remote_apply를 사용하되, 성능 영향을 신중하게 평가하십시오.
  • 모니터링 및 경고: pg_stat_replication에 대한 강력한 모니터링을 구현하고 지연이 허용 가능한 임계값을 초과할 때 경고를 설정합니다.
-- 프라이머리에서: 현재 WAL LSN 확인
SELECT pg_current_wal_lsn();

-- 복제본에서: 복제 상태 및 지연 확인
SELECT
    usename, application_name, client_addr, state, sync_state,
    pg_wal_lsn_diff(pg_current_wal_lsn(), replay_lsn) AS replay_lag_bytes,
    EXTRACT(EPOCH FROM (now() - pg_last_wal_replay_lsn())) AS replay_lag_seconds
FROM pg_stat_replication;

3. 실패하거나 멈춘 프라이머리 전환

자동화된 장애 조치는 복제본을 빠르고 안정적으로 승격해야 합니다. 이 프로세스가 중단되거나 완전히 실패하면 장기간의 다운타임이 발생하고 수동 개입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문제 증상:

  • 이전 프라이머리가 다운된 후 새 프라이머리가 선출되거나 승격되지 않습니다.
  • 클러스터가 두 노드가 자신이 프라이머리라고 믿는 스플릿 브레인 상태에 진입합니다.
  • 장애 조치 관리자 로그에 쿼럼, 리더 선출 또는 데이터베이스 승격과 관련된 오류가 표시됩니다.
  • 프라이머리가 사용 불가능하여 애플리케이션이 계속 다운된 상태입니다.

근본 원인:

  • 스플릿 브레인: 네트워크 파티션이 노드를 격리하여 여러 프라이머리 또는 모호한 프라이머리 선출로 이어질 때 발생합니다. 이는 데이터 불일치의 위험이 있는 가장 위험한 시나리오입니다.
  • 쿼럼 문제: 장애 조치 관리자가 노드 간에 쿼럼(과반수 투표)을 달성하지 못하여 승격에 대한 결정을 내리지 못할 수 있습니다. 이는 노드 수가 짝수이거나 노드 수가 너무 적은 클러스터에서 흔히 발생합니다.
  • 네트워크 격리: 장애 조치 관리자 노드가 서로 또는 PostgreSQL 인스턴스와 통신할 수 없어 상태 확인 또는 명령 실행이 방해됩니다.
  • 불충분한 권한: 장애 조치 관리자의 사용자에게 필요한 PostgreSQL 권한(예: pg_promote()) 또는 시스템 수준 권한(예: VIP 관리)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 구성 오류: restore_command, primary_conninfo 또는 장애 조치 관리자 구성 내의 기타 설정이 잘못된 경우입니다.

디버깅 단계:

  1. 장애 조치 관리자 로그 확인: 이것이 정보의 주요 출처입니다. Patroni의 경우 특정 로그(종종 journalctl -u patroni 또는 patroni.yml에 구성된 로그 파일)를 확인하십시오. pg_auto_failover의 경우 journalctl -u pgautofailover_monitor 및 에이전트 로그를 확인하십시오.
  2. 쿼럼 상태 확인: Patroni의 경우 patronictl list를 사용하여 모든 클러스터 멤버의 상태를 확인하고 선출된 리더를 확인하십시오. pg_auto_failover의 경우 pg_autoctl show state를 확인하십시오.
  3. 네트워크 연결: 모든 HA 노드와 분산 합의 저장소(예: Patroni의 Etcd, Consul, ZooKeeper) 간에 ping, traceroute, telnet 검사를 수행하십시오.
  4. 시스템 로그: 모든 노드에서 journalctl -xe 또는 /var/log/syslog를 확인하여 장애 조치 관리자를 방해할 수 있는 시스템 수준 오류(예: 디스크 가득 참, 메모리 문제)가 있는지 확인하십시오.
  5. PostgreSQL 로그: 승격 후보 복제본의 PostgreSQL 로그를 검사하여 승격 시도 중에 문제가 보고되는지 확인하십시오.

해결책:

  • 펜싱/STONITH 구현: (Shoot The Other Node In The Head)는 스플릿 브레인을 방지하기 위해 중요합니다. 새 프라이머리가 승격되기 전에 실패한 프라이머리가 완전히 종료되었는지 확인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장애 조치 관리자가 처리합니다.
  • 쿼럼을 위한 홀수 노드 수: 장애 조치 관리자의 분산 합의 저장소(Etcd, Consul, ZooKeeper)에 항상 홀수 개의 투표 노드(예: 3, 5)를 배포하여 하나 또는 두 개의 노드가 실패하더라도 항상 쿼럼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합니다.
  • 견고한 네트워크 구성: 중복 네트워크 경로, 필요한 포트(PostgreSQL, 합의 저장소, Patroni API)에서 통신을 허용하는 적절한 방화벽 규칙, 일관된 호스트 이름 확인을 보장하십시오.
  • 권한 확인: 장애 조치 관리자를 실행하는 사용자 계정에 승격 및 재구성 작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모든 PostgreSQL 권한과 시스템 권한이 있는지 확인하십시오.
  • 장애 조치 관리자 구성 검토: patroni.yml 또는 pg_auto_failover 설정에서 오타, 잘못된 경로 또는 잘못 구성된 restore_command가 있는지 다시 확인하십시오.
  • 수동 개입 (신중하게): 심각하게 중단된 장애 조치 상황에서는 수동 승격 또는 노드 재결합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불일치를 방지하기 위해 이전 프라이머리가 완전히 종료되었는지 확인한 후 새 프라이머리를 승격하는 등 극도로 신중하게 진행하십시오.
# 예시: Patroni 클러스터 상태 확인
patronictl -c /etc/patroni/patroni.yml list

# 예상 출력 (예시):
# + Cluster: my_ha_cluster (6979219803154942080) ------+----+-----------+----+-----------+
# | Member  | Host         | Role    | State    | TL | Lag |
# +---------+--------------+---------+----------+----+-----+
# | node1   | 192.168.1.10 | Leader  | running  | 2  |     |
# | node2   | 192.168.1.11 | Replica | running  | 2  | 0   |
# | node3   | 192.168.1.12 | Replica | running  | 2  | 0   |
# +---------+--------------+---------+----------+----+-----+

4. 네트워크 연결 및 DNS 확인 문제

많은 HA 문제의 근본 원인은 기본 네트워크 문제로, 노드가 통신하거나 애플리케이션이 올바른 데이터베이스 엔드포인트를 찾지 못하게 합니다.

문제 증상:

  • 애플리케이션 또는 클러스터 노드 간에 connection refused 또는 no route to host 오류가 발생합니다.
  • 장애 조치 관리자가 노드를 연결할 수 없다고 보고합니다.
  • DNS에 의존하는 서비스가 프라이머리의 호스트 이름을 올바르게 확인할 수 없습니다.

근본 원인:

  • 방화벽 규칙: PostgreSQL 포트(5432), 장애 조치 관리자 포트 또는 합의 저장소 포트를 차단하는 잘못 구성된 방화벽 규칙(예: iptables, 보안 그룹).
  • 네트워크 파티션: 노드 하위 집합 간의 통신을 방해하는 물리적 또는 논리적 네트워크 분할.
  • 잘못된 라우팅: 하나 이상의 노드에 잘못 구성된 네트워크 라우트.
  • DNS 캐싱/잘못된 구성: 섹션 1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오래된 DNS 레코드 또는 잘못된 DNS 서버 구성은 트래픽을 잘못된 곳으로 보낼 수 있습니다.
  • 가상 IP (VIP) 마이그레이션 실패: VIP를 사용하는 경우, 새 프라이머리로 마이그레이션에 실패하여 서비스에 연결할 수 없게 될 수 있습니다.

디버깅 단계:

  1. 기본 연결: 모든 노드 간에 ping <target_ip>를 사용하십시오.
  2. 포트 연결: telnet <target_ip> <port> (예: telnet 192.168.1.10 5432)를 사용하여 PostgreSQL 포트가 열려 있고 수신 대기 중인지 확인하십시오.
  3. 방화벽 확인: 각 노드에서 활성 방화벽 규칙(sudo iptables -L, sudo ufw status 또는 클라우드 공급자 보안 그룹 구성)을 확인하십시오.
  4.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태: ip addr show 또는 ifconfig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되어 있고 올바르게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하십시오.
  5. DNS 확인: dig <hostname> 또는 nslookup <hostname>을 사용하여 관련 노드(애플리케이션 서버, 풀러, HA 노드)에서 호스트 이름 확인을 확인하십시오.

해결책:

  • 방화벽 규칙 검토: PostgreSQL(5432), 장애 조치 관리자의 제어 평면(예: Patroni API의 경우 8008, pg_auto_failover의 경우 8000/8001), 분산 합의 저장소(예: Etcd: 2379/2380, Consul: 8300/8301/8302)에 필요한 포트가 열려 있는지 확인하십시오.
  • 일관된 네트워킹: 모든 노드가 동일한 서브넷에 있거나 여러 서브넷에 걸쳐 있는 경우 올바른 라우팅이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하십시오.
  • DNS 업데이트: 장애 조치 프로세스의 일부로 DNS 업데이트를 자동화하거나 더 짧은 TTL을 사용하십시오. VIP는 이러한 이유로 종종 선호됩니다.
  • VIP 관리: VIP를 사용하는 경우, VIP 관리 도구(예: Keepalived, 클라우드 공급자의 IP 관리)가 올바르게 구성되어 작동하는지 확인하십시오. VIP 마이그레이션을 명시적으로 테스트하십시오.
  • 호스트 기반 액세스: 소규모 클러스터에서 단순성을 위해 pg_hba.conf가 모든 잠재적인 프라이머리/복제본 IP 주소 및 연결 풀러의 IP에서 연결을 허용하는지 확인하십시오.

문제 해결을 위한 필수 도구

  • psql: pg_stat_replication, pg_current_wal_lsn(), SHOW * 명령과 같은 SQL 쿼리 실행용.
  • 장애 조치 관리자 CLI: 클러스터 상태, 로그 쿼리 및 작업 시작을 위한 patronictl, pg_autoctl.
  • 시스템 모니터링: Prometheus + Grafana, Zabbix, Nagios 또는 클라우드 공급자 모니터링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리소스 활용, 복제 지연 및 서비스 상태에 대한 실시간 통찰력을 얻습니다.
  • journalctl / tail -f: 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 로그 보기용.
  • 네트워크 유틸리티: ping, traceroute, telnet, iperf, netstat, dig, nslookup을 사용하여 연결 문제를 진단합니다.
  • dmesg: 커널 수준 오류, 특히 디스크 I/O 또는 OOM(메모리 부족) 킬러와 관련된 오류용.

장애 조치 문제 예방을 위한 모범 사례

  • 정기적인 장애 조치 테스트: 정기적으로 프라이머리 장애를 시뮬레이션하고 장애 조치 프로세스를 관찰합니다. 이는 신뢰를 구축하고 잘못된 구성을 드러냅니다.
  • 견고한 모니터링 및 경고: 복제 지연, 프라이머리 상태, 연결 풀러 상태 및 시스템 리소스와 같은 주요 메트릭을 모니터링합니다. 모든 편차에 대한 경고를 설정합니다.
  • 적절한 연결 풀러 구성: server_reset_query가 구성되어 있는지, pool_mode가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한지, 상태 확인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하십시오.
  • 복제 매개변수 튜닝: 성능 및 내구성 요구 사항에 따라 wal_level, max_wal_senders, wal_keep_sizesynchronous_commit을 신중하게 구성하십시오.
  • HA 설정 문서화: HA 아키텍처, 장애 조치 관리자 구성, 네트워크 설정 및 복구 절차를 명확하게 문서화하십시오.
  • 전용 장애 조치 관리자 사용: 중요한 HA 로직을 위해 사용자 지정 스크립트 대신 Patroni 또는 pg_auto_failover와 같은 검증된 솔루션에 의존하십시오.
  • 전용 합의 저장소: Patroni와 같은 관리자를 사용하는 경우, 단일 장애 지점을 피하기 위해 분산 합의 저장소(Etcd, Consul)를 위한 별도의 고가용성 클러스터를 배포하십시오.

결론

견고한 PostgreSQL HA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유지 관리하려면 신중한 계획, 구성 및 사전 예방적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자동화된 장애 조치가 다운타임을 크게 줄여주지만, 연결 풀링, 복제 지연 및 장애 조치 프로세스 자체와 관련된 일반적인 문제가 여전히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증상과 근본 원인을 이해하고 이 가이드에 설명된 디버깅 기술 및 해결책을 활용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고 예방할 수 있습니다.

정기적인 장애 조치 메커니즘 테스트는 포괄적인 모니터링 및 모범 사례 준수와 결합되어 PostgreSQL 고가용성 설정의 복원력과 안정성을 보장하는 데 매우 중요함을 기억하십시오. 이러한 사전 예방적 접근 방식은 예상치 못한 문제에 직면했을 때에도 데이터베이스가 계속 가용하고 애플리케이션이 일관되게 작동하도록 보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