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로 마이그레이션: 원활한 전환을 위한 단계별 체크리스트
클라우드로의 전환은 민첩성, 확장성, 비용 효율성, 혁신 기회 향상을 약속하는 혁신적인 여정입니다. 아마존 웹 서비스(AWS)는 거의 모든 워크로드를 지원하는 방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선도적인 클라우드 공급자입니다. 그러나 성공적인 마이그레이션은 단순히 애플리케이션을 리프트 앤 시프트하는 것을 넘어, 세심한 계획, 전략적 실행, 그리고 지속적인 최적화를 필요로 합니다.
이 포괄적인 체크리스트는 AWS 마이그레이션의 복잡성을 헤쳐나가는 데 필요한 가이드 역할을 합니다. 프로세스를 주요 단계인 계획 및 평가, 실행 및 마이그레이션, 마이그레이션 후 최적화로 나눕니다. 이 단계를 따르면 조직은 위험을 최소화하고, 성능을 최적화하며, AWS 클라우드로의 진정한 성공적인 전환을 달성하여 비즈니스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습니다.
1단계: 계획 및 평가
초기 단계는 마이그레이션을 위한 견고한 기반을 마련하는 데 중요합니다. 철저한 계획과 평가는 현재 환경을 이해하고, 목표를 정의하며, 강력한 마이그레이션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1.1 비즈니스 목표 및 성공 지표 정의
기술 작업이 시작되기 전에, 왜 AWS로 마이그레이션하는지 명확하게 설명하십시오. 주요 비즈니스 동인은 무엇입니까?
- 목표 식별: 총소유비용(TCO) 절감, 애플리케이션 성능 향상, 재해 복구 강화, 혁신 가속화, 글로벌 범위 확장, 더 큰 민첩성 확보.
- 핵심 성과 지표(KPI) 설정: 성공을 위한 측정 가능한 지표 정의 (예: 비용 절감률 %, 지연 시간 개선, 가동 시간 증가, 시장 출시 시간).
1.2 현재 환경 인벤토리 및 검색
기존 인프라, 애플리케이션 및 데이터에 대한 깊은 이해를 얻으십시오. 이는 종종 자동화된 도구와 함께 수동 수집을 포함합니다.
- 애플리케이션 및 서버 인벤토리: 모든 애플리케이션, 가상 머신, 물리적 서버, 운영 체제 및 데이터베이스를 나열합니다.
- 종속성 매핑: 애플리케이션 간, 애플리케이션-데이터베이스 간, 네트워크 종속성을 식별합니다. AWS Application Discovery Service 또는 타사 솔루션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이를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 평가: 데이터 볼륨, 증가율, 액세스 패턴 및 규정 준수 요구 사항을 이해합니다.
- 네트워크 및 보안 검토: 현재 네트워크 토폴로지, 방화벽, 보안 그룹 및 규정 준수 프레임워크(예: HIPAA, GDPR, PCI DSS)를 문서화합니다.
1.3 비용 분석 및 비즈니스 사례 생성
현재 온프레미스 비용과 예상 AWS 비용을 비교하는 포괄적인 재무 모델을 개발합니다.
- 총소유비용(TCO) 분석: 온프레미스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전력, 냉각, 시설 및 인력 비용을 포함합니다.
- AWS 비용 추정: AWS Pricing Calculator, TCO Calculator를 사용하고 예약 인스턴스(RIs), Savings Plans 및 권장 규모 조정(rightsizing)을 통한 잠재적 절감액을 고려합니다.
- 강력한 비즈니스 사례 구축: 이해관계자에게 재정적 및 전략적 이점을 제시하여 동의와 자금을 확보합니다.
1.4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 전략 개발 (6가지 R)
AWS는 6가지 일반적인 마이그레이션 전략을 제시합니다. 각 애플리케이션 또는 워크로드에 가장 적합한 전략을 선택하십시오.
- 리호스트 (Lift and Shift): 애플리케이션을 있는 그대로 EC2 인스턴스로 이동합니다. 가장 빠르지만, 즉시 클라우드 이점을 최적화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 예: Windows Server VM에서 실행되는 레거시 애플리케이션을 EC2 인스턴스로 직접 마이그레이션합니다.
- 리플랫폼 (Lift and Tinker): 애플리케이션을 클라우드로 이동하고 핵심 아키텍처를 변경하지 않고 클라우드 기능을 활용하기 위해 사소한 최적화를 수행합니다.
- 예: 온프레미스에서 Amazon RDS로 데이터베이스를 마이그레이션합니다.
- 리아키텍처 (Refactor): 클라우드 네이티브 서비스를 완전히 활용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 코드를 수정하거나 다시 작성합니다. 높은 노력, 높은 보상입니다.
- 예: AWS Lambda 및 Amazon API Gateway를 사용하여 모놀리식 애플리케이션을 마이크로서비스로 분할합니다.
- 리퍼처스 (Drop and Shop): 기존 애플리케이션을 클라우드 네이티브 SaaS 솔루션으로 대체합니다.
- 예: 온프레미스 CRM을 Salesforce로, 온프레미스 이메일 서버를 Amazon WorkMail로 대체합니다.
- 유지 (Retain): 일부 애플리케이션은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예: 고도로 전문화된 하드웨어, 규제 제약) 온프레미스에 유지합니다.
- 폐기 (Retire): 더 이상 필요 없는 애플리케이션을 해체하여 리소스와 비용을 절감합니다.
1.5 AWS 랜딩 존 구축
잘 설계된 랜딩 존은 안전하고 확장 가능하며 다중 계정 AWS 환경을 제공합니다.
- AWS Organizations: 여러 AWS 계정에 대한 조직 구조를 설정합니다.
- 자격 증명 및 액세스 관리(IAM): 안전한 액세스를 위해 자격 증명 공급자, 역할 및 정책을 구성합니다.
- 네트워크 구성: VPC, 서브넷, 라우팅 및 연결(예: AWS Direct Connect, VPN)을 정의합니다.
- 보안 기준: 보안 서비스(예: AWS WAF, GuardDuty, Security Hub), 로깅(CloudTrail, CloudWatch Logs) 및 백업 전략을 구현합니다.
- 비용 관리: AWS Cost Explorer를 통해 예산 책정, 비용 할당 태그 및 모니터링을 설정합니다.
팁: AWS Control Tower 또는 AWS Landing Zone (레거시)을 사용하여 안전한 다중 계정 환경 설정을 가속화하는 것을 고려하십시오.
2단계: 실행 및 마이그레이션
이 단계에는 계획 단계에서 정의된 전략에 따라 데이터와 애플리케이션을 실제로 AWS로 이동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2.1 애플리케이션 및 데이터 우선순위 지정 (웨이브 계획)
모든 애플리케이션을 한 번에 마이그레이션할 수는 없으며, 그렇게 해서도 안 됩니다. 이를 웨이브로 그룹화하십시오.
- 작게 시작: 덜 중요하고 간단한 애플리케이션부터 시작하여 경험을 쌓고 프로세스를 개선하십시오.
- 종속성별 그룹화: 상호 의존적인 애플리케이션을 함께 마이그레이션하여 중단을 최소화하십시오.
- 파일럿 마이그레이션: 소규모의 통제된 마이그레이션을 수행하여 전략과 도구를 테스트하십시오.
2.2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데이터 이동은 종종 마이그레이션에서 가장 시간이 많이 걸리고 중요한 부분입니다.
- 데이터베이스 마이그레이션: AWS Database Migration Service (DMS)를 사용하여 이기종(예: Oracle에서 Aurora로) 및 동종 데이터베이스 마이그레이션을 최소한의 다운타임으로 수행합니다.
- 스토리지 마이그레이션: 대규모 데이터 세트의 경우 AWS DataSync, AWS Snowball 제품군(Snowball Edge, Snowmobile) 또는 VPN/Direct Connect를 통한 직접 네트워크 전송을 Amazon S3 또는 Amazon FSx로 사용합니다.
- 데이터 동기화: 마이그레이션 중 지속적인 데이터 복제를 구현하여 컷오버 다운타임을 최소화합니다.
2.3 애플리케이션 마이그레이션
각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선택한 6가지 R 전략을 구현합니다.
- 리호스트: AWS Application Migration Service (AWS MGN) 또는 CloudEndure Migration을 사용하여 서버를 EC2 인스턴스로 자동 리프트 앤 시프트합니다.
- 리플랫폼/리아키텍처: Amazon EC2, Amazon ECS/EKS, AWS Lambda, Amazon RDS 또는 서버리스 서비스와 같은 클라우드 네이티브 서비스에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합니다.
- 코드형 인프라(IaC): AWS CloudFormation 또는 Terraform을 사용하여 인프라 프로비저닝을 자동화합니다.
- CI/CD 파이프라인: AWS CodePipeline, CodeBuild, CodeDeploy를 사용하여 지속적인 통합 및 지속적인 배포(CI/CD) 파이프라인을 설정하여 자동화된 배포를 수행합니다.
2.4 테스트 및 검증
운영을 시작하기 전의 철저한 테스트는 필수입니다.
- 기능 테스트: AWS 환경에서 모든 애플리케이션 기능이 예상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합니다.
- 성능 테스트: 애플리케이션이 성능 벤치마크를 충족하고 효율적으로 확장되는지 검증합니다.
- 보안 테스트: 취약점 스캔, 침투 테스트 및 액세스 제어 검증을 수행합니다.
- 사용자 승인 테스트(UAT): 비즈니스 사용자를 참여시켜 기능 및 사용성을 확인합니다.
- 재해 복구(DR) 테스트: 중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복구 지점 목표(RPO) 및 복구 시간 목표(RTO)를 검증합니다.
2.5 컷오버
새로운 AWS 환경으로 트래픽을 전환하는 최종 단계입니다.
- 예정된 다운타임: 이해관계자와 광범위하게 소통하여 마이그레이션 기간을 계획합니다.
- 데이터 동기화: 일관성을 보장하기 위해 최종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합니다.
- DNS 업데이트: DNS 레코드를 업데이트하여 새 AWS 엔드포인트(예: Amazon Route 53 사용)를 가리키도록 합니다.
- 롤백 계획: 예상치 못한 문제 발생 시 명확하고 테스트된 롤백 계획을 마련합니다.
3단계: 마이그레이션 후 최적화
마이그레이션은 일회성 이벤트가 아니라 클라우드에서 지속적인 개선 여정의 시작입니다.
3.1 비용 최적화
AWS 지출을 적극적으로 관리하고 줄입니다.
- 권장 규모 조정 (Rightsizing): AWS Compute Optimizer를 사용하여 리소스 사용률(CPU, 메모리)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EC2 인스턴스 유형, EBS 볼륨 및 기타 서비스를 실제 요구 사항에 맞게 조정합니다.
- 요금 모델: 예측 가능한 워크로드에 대해 예약 인스턴스(RIs) 또는 Savings Plans를 활용합니다.
- 서버리스 및 관리형 서비스: 자체 관리형 서비스를 완전 관리형 또는 서버리스 대안(예: EC2를 Lambda로, 자체 관리형 데이터베이스를 Amazon RDS로)으로 교체할 기회를 모색하여 운영 오버헤드와 종종 비용을 절감합니다.
- 스토리지 티어링: 덜 자주 액세스되는 데이터를 더 저렴한 스토리지 클래스(예: Amazon S3 Standard-IA, Glacier)로 이동합니다.
- 자동 종료: 비프로덕션 리소스를 비업무 시간에 전원 끕니다.
3.2 성능 최적화
애플리케이션이 효율적으로 실행되고 뛰어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지 확인합니다.
- 모니터링 및 로깅: Amazon CloudWatch, AWS X-Ray 및 기타 도구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성능, 리소스 사용률 및 로그를 모니터링합니다.
- 자동 스케일링: EC2 인스턴스에 대한 Auto Scaling Group을 구현하거나 서버리스 확장성 기능을 활용하여 가변적인 부하를 효율적으로 처리합니다.
-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DN): Amazon CloudFront를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더 가까운 곳에 콘텐츠를 캐싱하여 지연 시간을 줄이고 성능을 향상시킵니다.
- 데이터베이스 최적화: 데이터베이스 쿼리, 인덱스 및 구성을 미세 조정합니다.
3.3 보안 강화
클라우드에서 보안 태세를 지속적으로 개선합니다.
- 정기 감사: 주기적인 보안 감사 및 취약점 평가를 수행합니다.
- 규정 준수 확인: AWS Config 및 AWS Security Hub를 사용하여 내부 정책 및 외부 규정에 대한 규정 준수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합니다.
- 최소 권한: IAM 사용자 및 역할에 대해 최소 권한 원칙을 적용합니다.
- 보안 모범 사례: AWS Well-Architected Framework의 보안 원칙 지침을 정기적으로 검토하고 적용합니다.
3.4 운영 우수성 및 자동화
운영을 간소화하고 수동 작업을 줄입니다.
- 코드형 인프라(IaC): CloudFormation 또는 Terraform을 사용하여 인프라 정의를 유지 관리하고 발전시킵니다.
- 자동화: AWS Systems Manager, Lambda 함수 및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를 사용하여 일상적인 작업을 자동화합니다.
- CI/CD 파이프라인: 모든 애플리케이션 배포를 위한 CI/CD를 완전히 통합하여 빠르고 일관되며 신뢰할 수 있는 릴리스를 보장합니다.
- 모니터링 및 경고: 사전 예방적 문제 감지를 위해 CloudWatch 경보 및 알림을 개선합니다.
3.5 이전 인프라 해체
AWS 환경에 대한 확신이 높고 모든 종속성이 해제되면 레거시 온프레미스 인프라를 해체합니다.
- 검증: 모든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가 AWS로 성공적으로 마이그레이션되어 작동하는지 다시 확인합니다.
- 백업: 해체하기 전에 이전 시스템의 최종 백업을 생성합니다.
- 폐기: 이전 서버와 스토리지를 전원 끄고 물리적으로 제거하여 모든 비용 절감 효과를 실현합니다.
결론
AWS로의 마이그레이션은 신중한 계획, 숙련된 실행, 그리고 최적화에 대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한 중요한 작업입니다. 이 포괄적인 단계별 체크리스트를 따르면 조직은 일반적인 함정을 완화하고 원활하고 성공적인 전환을 보장하며 자신감을 가지고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여정은 컷오버로 끝나지 않습니다. 클라우드에서 지속적인 최적화는 AWS가 제공하는 민첩성, 비용 효율성 및 혁신의 모든 이점을 실현하는 데 핵심입니다. 클라우드 도입의 반복적인 특성을 받아들이면 조직은 미래 성장과 복원력을 위한 좋은 위치에 설 것입니다.